본문 바로가기
세금이야기

개인사업자 부가세 신고기한, 신고방법, 1년에 몇 번일까?

by 나의자유 2024. 3. 24.

부가가치세란?

상품(재화)의 거래나 서비스(용역)의 제공과정에서 얻어지는 부가가치에 대하여 과세하는 세금입니다. 부가세 과세대상 사업자는 상품을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할 때 거래금액 일정금액의 부가가치세를 징수하여 납부합니다. 부가세는 최종소비자가 부담하는 간접세입니다.

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썸네일

 

신고기한

개인사업자는 6개월을 과세기간으로 하여 1기(1월 ~ 6월)와 2기(7월 ~ 12월)로 나누어집니다. 각 과세기간을 기준으로 신고, 납부를 하게 되며 다시 3개월로 나누어 1기는 4월, 2기는 10월에 예정신고기간을 두고 있습니다.

과세기간 과세대상기간 신고납부기한 비고
1기(1/1 ~ 6/30) 예정신고 1/1 ~ 3/31 4/1 ~ 4/25 예정신고의무없음. 예정고지서를 받아 납부
확정신고 1/1 ~ 6/30 7/1 ~7/25
2기(7/1 ~ 12/31) 예정신고 7/1 ~ 9/30 10/1 ~ 10/25
확정신고 7/1 ~ 12/31 다음해1/1 ~ 1/25

 

일반적인 경우 개인사업자는 1년에 2회 신고를 하며, 직전 과세기간(6개월) 납부세액의 50%를 예정고지서(4월, 10월)에 의해 납부하여야 합니다. 예정고지 금액 50만 원 미만인 경우 예정고지납부서가 발송되지 않습니다. 따라서 예정고지금액이 50만 원 이상인 사업자는 부가가치세를 1년에 4번 납부하시게 됩니다. 예정고지 대상자라도 휴업 또는 사업부진으로 인하여 사업실적이 안 좋아진 경우 예정고지서의 금액이 아닌 예정신고를 하여 계산된 예정신고 납세액으로 납부하실 수 있습니다. 간이과세자는 1년을 과세기간으로 하여 신고, 납부합니다. 다만,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간이과세자는 1/1 ~ 6/30을 과세기간으로 하여 예정 신고, 납부하고 다음 해 1/1 ~ 1/25까지 1/1 ~ 12/31을 과세기간으로 하여 확정신고합니다.

 

 

신고방법

보통의 일반과세자인 경우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뺀 금액인 납부세액을 계산한 뒤, 납부세액에서 경감. 공제 세액을 차감합니다. 예정고지세액을 납부했을 경우 납부세액에서 차감합니다. 제출서류는 해당하는 경우에만 제출합니다.

부가세신고시 제출서류

 

부가세 신고서는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작성,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.

 

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

 

반응형